본문 바로가기
AI - ARTTECH/Overview

RWA 온체인 토큰화 시장의 실제 성장률과 구조

by AF(에엪) 2025. 7. 9.
반응형

RWA 온체인 토큰화 시장의 실제 성장률과 구조

민간 크레딧, 국채, 금 등 다양한 자산 토큰화 활발... 대형 운용사 실사용도 늘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인 레드스톤(RedStone), 가운틀렛(Gauntlet), RWA.xyz가 함께 발표한 '온체인 금융 내 실물자산 보고서(Real-World Assets in On-chain Finance Report)'.

 

 

[AF 에엪 기술융합부]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인 레드스톤(RedStone), 가운틀렛(Gauntlet), RWA.xyz가 함께 발표한 '온체인 금융 내 실물자산 보고서(Real-World Assets in On-chain Finance Report)'에 따르면, 2025년 6월 현재 전 세계 온체인 RWA(실물자산 토큰화) 시장 규모가 1조 8,7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2022년에 약 5,000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가 3년 만에 3배 이상 성장한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동안 '24조 달러'로 알려졌던 수치는 전체 RWA(실물자산) 시장의 예상치이며, 실제로 블록체인에 토큰화된 자산은 전체의 약 7.8%에 불과하다.

RWA는 부동산, 국채, 사모 대출, 금, 각종 상품 등 전통적인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으로 만든 자산을 뜻한다. 이번 보고서를 발표한 레드스톤은 블록체인에 외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오라클 전문 기업이며, 가운틀렛은 디파이(탈중앙 금융) 위험 관리 솔루션을, RWA.xyz는 실물자산 토큰화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하는 곳이다.

보고서 내용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민간 크레딧(Private Credit)이 전체 RWA 토큰화 시장의 42%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이 외에도 미국 국채, 금, 상품 등 다양한 자산들이 빠르게 토큰화되고 있다. 특히, 블랙록(BlackRock),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아폴로(Apollo)와 같은 세계적인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직접 자산을 토큰화하고 이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한편,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가 2023년에 내놓았던 전망에서는 2030년까지 온체인 RWA 시장이 16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2034년 30조 달러'라는 수치는 공식 보고서에서 확인된 바 없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블록체인 인프라와 오라클 기술이 발전하면서 RWA 시장이 더 넓어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디파이(탈중앙 금융)에서도 실물자산 토큰의 실제 사용이 점차 늘고 있으며, RWA 토큰화가 금융 시장의 모습을 바꿀 핵심 동력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아직은 전체 실물자산 중 토큰화된 비중이 낮은 편이며, 규제와 법적인 불확실성, 그리고 투자자를 보호할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장 성장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RWA 시장은 앞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가 더욱 늘어나고, 블록체인 기술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전 세계 자산운용사들의 실제 운용 사례가 많아질수록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시장 규모나 성장률에 대해 과장된 수치들이 퍼지고 있는 만큼,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레드스톤(RedStone), 가운틀렛(Gauntlet), RWA.xyz가 함께 발표한 '온체인 금융 내 실물자산 보고서(Real-World Assets in On-chain Finance Report)'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https://blog.redstone.finance/2025/06/26/real-world-assets-in-onchain-finance-report/

 


AF 에엪 기술융합부 press@artfr.co.kr
 

◎ AF(에엪) https://artfr.co.kr
Copyright © ARTFR.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F #에이에프 #에엪 #RWA #realworldassets #실물자산 #현실자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