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토큰화 증권 제안, SEC 공개 검토 단계 진입
Release No. 34-103980 공개로 의견수렴 개시 — DTC 인프라 검증과 법·기술 과제가 관건
[AF 에엪 기술융합부] 2025년 9월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나스닥이 제출한 토큰화 증권 규칙 변경안 SR-NASDAQ-2025-072에 대한 공개 노티스(Release No. 34-103980)를 게재하고 의견수렴 절차에 들어갔다. 이 문서에서 나스닥은 토큰화된 주식 및 상장지수펀드(ETP)가 기존 증권과 동일한 CUSIP(CUSIP Number)을 갖고 배당·의결권 등 실질적 권리를 동일하게 제공할 경우 전통 증권과 함께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 설계를 제안했다. 제안서는 또한 토큰화 거래의 결제 처리·감시·수수료 체계를 기존 규칙과 비차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참고로, CUSIP은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모든 유가증권에 부여되는 9자리 고유 식별 번호이다. 이는 주식, 채권, 뮤추얼 펀드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스닥 제안서에는 DTC(Depository Trust Company)가 제어 계정(control account)을 통해 토큰을 발행(mint)·관리하고 DTC 등록 디지털 지갑과 대조(reconcile)하는 절차 등 기술적 플로우가 예시로 제시됐다. 다만 DTC의 관련 인프라는 현재 개발·검증 단계에 있으며, 제안서는 해당 인프라가 실거래 환경에서 동작하기 전 스마트컨트랙트 감사·시스템 리스크 검증 등 추가 작업이 필요함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또한 문서는 토큰화 거래가 T+1 기준으로 정산될 것으로 전제하고 있으나, 미국 주식시의 결제 표준은 이미 T+1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함께 명시해 해석에 혼동이 없도록 했다.
SEC의 의견 제출 기한은 노티스가 연방관보(Federal Register)에 게재된 날짜를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구체적 마감일은 연방관보 게재일을 확인해야 한다. 나스닥은 토큰화 도입과 관련해 회원 대상 사전 공지(최소 30일 전)와 웨비나 등을 통해 시장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투자자 보호와 시장 감시 체계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절차가 제도권과 블록체인 기술을 연결하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지만, 실무 도입 전 DTC 인프라의 기술적 검증과 법적 소유권 연동 방식(오프체인 등기와의 정합성), 스마트컨트랙트 감사 결과가 선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번 공개 검토는 토큰화 증권의 제도권 편입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가늠할 첫 단계라는 의미를 지닌다. SEC 심사와 업계의 기술·법률적 보완이 완료될 경우 토큰화 상품의 시장 상용화가 가속화될 수 있으나, 최종 승인·운영은 다수의 규제·기술 검증 통과를 전제로 한다.
AF 에엪 기술융합부 press@artfr.co.kr
◎ AF(에엪) https://artfr.co.kr
Copyright © ARTFR.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F #에이에프 #에엪 #RWA #realworldassets #실물자산 #현실자산 #RWA #나스닥 #토큰화증권 #SEC
'AI - ARTTECH > Ov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르카도 비트코인, 2억 달러 RWA 토큰화 계획 재확인 (1) | 2025.09.28 |
---|---|
Mavryk 네트워크, 멀티뱅크 주도 1천만 달러 투자 유치 (1) | 2025.09.27 |
RWA 온체인 TVL 300억 달러 돌파 (0) | 2025.09.26 |
아시아 RWA 엑스포, 홍콩서 성황리 개최 (1) | 2025.09.25 |
RWA 시장 총 가치 290억 달러 기록… 온체인 유통 확대 관측 (1)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