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상미2

[이상미의 AI아트] 미디어아트의 시선으로 본 AI의 과제 [이상미의 AI아트] 미디어아트의 시선으로 본 AI의 과제 글쓴이 : 이상미 (백남준포럼 이사장, 이상아트 대표이사) 19세기 사진과 영화의 등장은 예술과 기계가 본격적으로 교차한 역사적 분기점이었다. 백남준은 브라운관을 예술의 매개체로 승화시키며 미디어아트라는 개념을 창출했다. 매체 자체가 곧 예술이자 메시지임을 천명한 그의 통찰은 오늘날까지 미디어아트의 철학적 토대가 되고 있다. 1960~70년대 비디오아트와 키네틱 아트는 기술과 미학, 관객 참여를 융합하여 디지털 인터랙션 기반 예술의 초석을 놓았다. 현대 미디어아트는 인공지능(AI), 대체불가능토큰(NFT), 메타버스 등 신기술과 결합하며 아트테크 산업의 중추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했다. 2024년 NFT 시장 규모는 88억 달러(약 11조 4.. 2025. 8. 14.
[신간] 이상미 유럽문화유산연구소 소장, ‘AI 시대의 아트테크’ 출간 [신간] 이상미 유럽문화유산연구소 소장, ‘AI 시대의 아트테크’ 출간스크린 너머, 기술과 감각이 자산이 되는 시대AI, NFT부터 미디어아트까지, 미래 예술의 모든 것을 담은 필독서 [AF 에엪 글로벌 아트부] 출판사 박영사는 이상미 작가가 저술한 ‘AI 시대의 아트테크’를 2025년 7월 25일 출간했다. 이 책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기술과 감각이 새로운 자산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미디어아트가 어떻게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실천의 플랫폼으로 기능하는지를 철학적 질문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풀어낸다. ‘AI 시대의 아트테크’는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동시대의 감각, 경험, 표현, 그리고 가치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깊이 있는 안내서이다. 우리는 스마트폰, 컴퓨터, 미디어월 .. 2025. 7. 25.
반응형